안녕하세요! M1S Secur 입니다.
이번엔 전강의인 "자료와 연산자-1"을 이어서 진행할건데요.
저번시간에는 char[문자형], int[정수형] 에대해서 설명했는데요.
전시간과 이어서 설명 하겟습니다.
> float[실수형]
float란 실수형 변수입니다.
이 변수의 특징은 소수부분과 지수부분을 따로 저장합니다.
이것은 4바이트로 정보[data]를 저장합니다.
여기서 실수란 간단히 소수라는것을 이야기합니다.
어? 그러면 그냥 int 같은 정수형으로도 실수처럼 저장할수 있지 않을까요?
예시를 들어 컴파일을 해보겟습니다.
EX > int i;
i=3.62;
컴파일을 하고 실행을 하게되면
이런식으로 에러가나며 값이 출력되지 않습니다.
그러면 실수형에 정수형처럼 입력해도 값이 정상적으로 출력될까요?
예시를 들어 다시 컴파일 해보겟습니다
EX > float f;
f=4;
컴파일 후에 실행시켜보면?
정상적으로 출력이 되는군요.
즉 int형은 float형으로 변환할수 있지만
float형은 int형으로 변환하지 못한다는걸 알수있습니다.
이번강의는 여기서 마치겟습니다.
부족한 강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