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. M1S 시큐어입니다.
본 포스팅에서는 랜섬웨어 복구 프로그램 및 예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[사진 출처 - 프리루트님 티스토리, http://freeroute.tistory.com/]
현재 존재하는 랜섬웨어(Ransomware) 복구 프로그램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.
1. 아래 사진은 백신을 개발하는 카스퍼스키사에서 내놓은 랜섬웨어 디크립터(Ransomware Decryptor).
다운로드를 받아 설치를 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.
신종 랜섬웨어의 경우에는 어떤 프로그램이던 복구가 불가능함을 알아두시기 바랍니다.!
구 버젼 크립토락커, 테슬라크립트3.0 이하 버젼등의 구 랜섬웨어들만 가능합니다.
아래의 사진은 트렌드마이크로 위협 제거 툴입니다.
각 윈도우 운영체제에 맞는 비트 32비트,64비트중 선택하여 설치하시면 되겠습니다.
>>내 PC가 몇 비트인지 모르시겠다 하시는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1. window 로고를 먼저 누르고 R 버튼을 눌러 실행에 들어갑니다.
2. dxdiag 를 입력합니다.
3. 윈도우 운영체제의 비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설치하신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이미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자동입니다.^^;
마지막으로 Microsoft 사에서 내놓은 Malicious Software Removal Tool 이 있습니다.
모든 프로그램들은 신종 랜섬웨어에는 대응하지 못합니다.
또한 백신의 경우에도 백신을 우회한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실시간 검사에 검출되지 않습니다.
따라서 주 취약점이 되는 Adobe,Microsoft Silver Light 등을 항상 최신버젼으로 업데이트 하시기 바랍니다.